충남내포혁신도시 지정 1년, “제자리걸음, 알맹이가 없다”
상태바
충남내포혁신도시 지정 1년, “제자리걸음, 알맹이가 없다”
  • 한기원 기자
  • 승인 2021.10.14 08: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남내포혁신도시, 인구 증가·충남경제 활성화에 기대감 커
환경·에너지, 연구개발, 문화·체육기관 등 20여개 유치 목표
혁신도시 지정 1년 경과, 관련 혜택은 제외… 주민들 허탈감

지난해 10월 8일, 꼭 1년 전,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대전 역세권과 연축지구를 대전혁신도시로, 충남도청내포신도시를 충남내포혁신도시로 각각 지정했다. 하지만 대전혁신도시와 충남내포혁신도시 지정 1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제자리걸음만 하면서 알맹이가 하나도 없는 혁신도시’로 머물고 있는 상황이다.

대전혁신도시와 충남내포혁신도시는 이전 공공기관 유치를 두고 전국적인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 발표가 늦어지면서 혁신도시를 성장 동력으로 삼으려던 지역의 발전 계획도 함께 주춤할 수밖에 없는 형국이다. 세종시 건설을 이유로 혁신도시에서 배제되면서 받았던 역차별을 대전과 충남은 후발로 혁신도시로 지정받는데 까지였다는 허탈감이 든다는 여론이다. 내년 대통령선거를 채 5개월도 남겨두지 않은 현 시점에서 문재인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의지가 의심받고 이유다.

대전혁신도시의 경우 지식산업, 중소기업 관련 기관 15곳과 연축지구에 과학기술 관련 8곳 등 24개 기관의 이전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충남내포혁신도시의 경우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 환경·에너지 관련 기관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연구개발 기관, 대한체육회와 같은 문화·체육기관 등 20여 개 기관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모두가 제자리걸음인 상황이다. 

충남내포혁신도시가 지정되면서 우량 공공기관이 들어서면 인구가 늘어나 내포신도시의 활성화로 지역의 균형발전에도 도움이 되고, 침체된 충남경제도 되살아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감이 크게 작용했다. 하지만 혁신도시 지정 1년이 지난 현재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소식이 무소식이기 때문에 홍성·예산군민들을 비롯해 충남도민들의 허탈감이 큰 이유다.

이러한 상황에서 충남내포혁신도시 지구 미지정으로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과 지역 인재 채용혜택은 이미 물 건너갔고, 혁신도시와 관련한 혜택도 받지 못했다. 그동안 정부가 전국 혁신도시를 대상으로 지원한 각종 혜택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올해 초 국토교통부가 485억 원을 투입해 산학연클러스터 추진을 했으나 대전혁신도시와 충남내포혁신도시는 대상에서 빠졌다. 또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820억 원을 들이는 어린이 특화시설 건립 사업 대상도 기존 혁신도시만 혜택을 받았다. 대전혁신도시와 충남내포혁신도시가 무늬만 혁신도시란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충남도와 홍성·예산군은 공공기관 이전, 기업유치 등 혁신도시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혁신도시에 이주할 이주민을 위한 조례도 통과시켜 놓은 상태다. ‘충남도 이전 공공기관 등 정주여건 조성 지원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안’은 이주 직원을 대상으로 한 정착장려금과 이주 직원 자녀 장학금 지급 내용 등이 담겼다.

이와 관련해 양승조 충남지사가 지난 12일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에서 “충남은 지난해 혁신도시로 지정됐지만 공공기관이 이전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며 “무늬만 혁신도시인 충남에 공공기관이 조속히 이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한 까닭이다.
지난해 10월 충남도청 내포신도시가 충남혁신도시로 지정됐지만 문재인 정부의 제2차 공공기관 이전이 아직 시행되지 않고 있는 점을 지적하면서 여야 행안위원들에게 지원을 요청하면서 충남내포혁신도시에 공공기관을 우선 이전 당위성을 주장한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충남도는 충남내포혁신도시 지정을 계기로 지역 성장의 새로운 모멘텀을 확보한 기회를 살려 도시 발전의 마중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공공기관 유치를 기반으로 연구개발(R&D)과 교육 기능을 제공하고 연관 기업을 유치해 경제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한다는 구상이다. 충남내포혁신도시는 충남도청, 충남교육청, 충남경찰청 이전 등 충남의 행정기관 이전으로 기반시설까지 갖춘 상황에서 환황해권 신성장 거점 도시이자 아시아의 해양 허브(hub)로 도약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