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이유에서 대단히 성공적이었다. 아울러 앞으로 성공적으로 지속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을 부풀렸다. 그러나 기대감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이번 축제에서 나타난 아쉬운 점을 보완해야 하며, 이를 위해 많은 투자 내지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첫째, 지자체의 재정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홍성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은 전 세계 최상급 연주자들을 초청해 질 높은 공연을 보여줌으로써 축제의 질을 최대한 끌어올렸지만 이로 인한 재정부담 역시 만만치 않았다. 유료공연을 통해 회수한 투자보다 지출된 게 많았고 이를 모두 민간이 부담했다. 그러나 이번 축제의 최대 수혜자는 홍성군이다. 이번 축제를 통해 홍성은 국내외 널리 이름을 알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홍성군의회가 홍성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에 대한 재정지원을 주저했던 사실은 아쉽기 그지없다. 차기 축제에서는 홍성군이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축제를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
하지만 재정지원과정에서 우려되는 점도 있다. 재정지원과 함께 축제 고유의 특성을 지켜나가도록 독립성을 유지시켜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재정 지원을 하되, 전체 기획과 진행은 철저히 민간주도로 해야 한다. 이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둘째, 축제추진기구를 상설화하고 재정을 떠나 행정적 지원을 위한 체계적 논의가 있어야 한다. 이번 축제에는 많은 외지인들이 방문했지만 숙박과 교통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공연장과 야외축제장을 연계하는 교통편이 없었던 점, 홍성 시내를 투어링할 수 있는 교통체계가 수립되지 못한 점은 아쉽기만 하다.
축제 이외의 볼거리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한 것은 정말 아쉽다. 산과 바다, 장터를 아우르는 투어링 버스를 운행 했다면 홍성을 더욱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을 것이다. 행정기관과 연계하여 숙박업협회 등이나 체험마을연합회 등과의 상설 협의가 필요했던 대목이며, 이는 민간이 강제성을 띠기 힘들다. 행정기관에서 나설 수 밖에 없는 부분이다. 아울러 이번 축제의 홍보가 미약했던 점도 아쉽다. 민간이 할 수 있는 점은 한계가 있으며, 홍보에는 많은 돈이 든다. 앞으로는 홍성군이 갖고 있는 수도권 홍보인프라를 통해 이를 적극 알려야 한다. 더욱이 홍성군 관내에서도 축제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군의 행정체계를 통해 하면 쉬운 일을 민간이 하다보니 엄청난 노력과 돈이 들어갈 수 밖에 없었다. 축제의 홍보는 결국 홍성에 대한 홍보다. 이점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연장소에 대한 연계성이 필요하다. 앞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홍주문화회관과 홍성문화원, 광천복합문예회관 등에서 행사를 분산개최하고 연계 교통망을 수립하는 게 필요하다.
2012홍성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 개최에 따른 세계각국의 반응
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의 대한민국 ‘홍성’에서의 개최는 세계적으로 큰 이슈를 불러일으켰다.
그 첫번째가 오카리나의 종주국인 이탈리아의 반응이었다. 상대적으로 타국에서의 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 개최가 불편했을 수도 있는데 오히려 자국의 오카리나를 세계적으로 애용해주고 매니아들이 생기는 것에 대해 상당히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때문에 지난해 세계유네스코 창의적도시전에서도 한국 공연단을 오카리나로 요청한 부분 부터 올해 개최된 홍성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에 이탈리아 부드리오 시장이 직접 방문하여 홍성에서의 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을 눈으로 확인하고 돌아갔다.
현재 이탈리아는 국가적으로 재정위기에 놓인 상태이기 때문에 지난해 개최가 불투명했던 이탈리아 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에서도 한국의 노블오카리나가 공식후원으로 페스티벌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고 내년에 있을 이탈리아 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과 더불어 한국-이탈리아 수교50주년을 맞아 한국과 이탈리아가 이를 오카리나를 통해 접목시키고자 준비를 하고 있다. 이탈리아 몰리넬라 부드리오시장은 이번 홍성방문에서 내년 이탈리아 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을 한국에서 지원해주기를 부탁 하였고 또한 한국의 2013홍성 국제오카리나 페스티벌에도 이탈리아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의사를 전달하고 돌아갔다. 아울러 지금 시점에서의 각 페스티벌 개최 도시인 이탈리아 부드리오시와 한국의 홍성군이 자매결연을 통한 연결고리를 맺는다면 이는 금상첨화가 되리라 확신한다.
이미 사)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에서는 내년에 있을 두개의 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을 구상하고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독일,오스트리아 등 다른 나라의 작은 규모의 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도 홍성국제오카리나 개최에 따라 자국 페스티벌을 개최하지 않고 두 나라의 크고 의미 있는 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을 적극 지원하고 동참하기로 약속을 하고 돌아갔다. 페스티벌을 마치고 돌아가는 700여명의 해외 연주자 및 제작자, 판매사, 관람객들은 이구동성으로 ‘Great!’을 외치고 돌아갔다. 내년 2013홍성국제오카리나 페스티벌은 올해보다 더 많은 외국인들이 홍성과 한국을 찾을 것이고 인원은 약 1500여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울러 2013홍성국제오카리나페스티벌은 시군단위 국제행사의 한 획을 그을 것으로 기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