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혁적 리더십과 협업으로 천년 홍주의 역사를 이어가자
상태바
변혁적 리더십과 협업으로 천년 홍주의 역사를 이어가자
  • 김진욱 칼럼·독자위원
  • 승인 2023.06.15 0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주(洪州) 천년으로 문화회관 앞에 타임캡슐과 기념탑을 세웠다. 역사적으로 충청의 큰 도시(충주, 청주, 홍주, 공주) 중 하나로 지금은 충남도청소재지다. 지정학적으로 서해안에 위치하여 일찍이 외세 침략에 항거했고 국운이 위태로우면 목숨을 초개같이 바친 ‘충절(忠節)의 고향’이다. 

10년 전부터 공공기관 및 산하단체 이전으로 조성된 내포신도시는 쾌적한 정주 환경에다 교통망까지 확충될 예정이다. 서해선 철도와 제2서해안고속도는 국가산단 조성에도 기폭제가 될 것이다. 새 정부와 코드가 일치한 지사는 ‘힘센 충남’의 잰걸음으로 굵직한 사업과 대외교류 확대로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중앙의 경험으로 현안 사업들을 회의 석상에서 즉각 처리하는 추진력에 관료들도 환호한다. 지역의 리더로서 활기찬 모습은 더없이 반갑다. 지역 현안 해결과 신성장동력에 매진하면 지역민들의 호응도 당연해진다. 조직으로부터 긍정적인 평판과 적극적인 민생행보는 자연스레 추진동력도 강하게 만든다. 

조직유효성을 결정하는 변수는 많으나 리더의 자질과 역량이 핵심이다. 카리스마와 역량을 갖추고 변혁적 리더십까지 겸했으면 금상첨화다. 구성원들의 사기진작과 대상 집단에 부응한 정책들은 수용성도 크다. 충남은 수출의 상당 부분을 반도체와 첨단산업이 차지하고 제4차 산업혁명 관련된 환경 조성과 미래 비전도 충분히 제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저출산에서는 자유롭지 못하다. 

지속적인 수도권 집중은 기형적인 국토 불균형과 천정부지의 집값으로 젊은이들에게는 희망의 불씨마저 없앴다. 교육정책은 국립대 중심의 지원과 시장경제로 줄 세우고, 재벌들은 중소기업과 노동자들을 볼모로 삼았으며 커지는 빈부격차는 날로 심해지고 있다. 파행적인 사회구조는 생활환경 피폐화로 이어지면서 세계 최고의 저출산국 오명을 씌웠다. 

수 없는 위기론에도 중앙정부의 대책은 ‘외국인 육아도우미’가 고작이다. 핵심을 못 찾으니 여전히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차제에 우리 지역부터 시작하면 좋겠다. 새로운 사고로 혁명적인 변화를 모색할 때 혁신은 가능하다. 지역의 리더들이 솔선해서 주민을 존중하고 이들이 행복해질 때 지속 가능한 발전이 담보될 수 있다. 

지역순회에서 주민 요구를 경청하고 현안에 귀 기울이되 우리 지역은 홍주의 역사성까지 고려하길 바란다. 단임제 대통령보다 지역의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지혜면 충분하다. 이중환의 택리지에 ‘살기 좋은 내포’를 재현해보자는 것이다. 내포가 지역의 중심으로 거듭난다면 국가적 성공사례가 될 것이다. 민선 8기에 충남은 경제와 산업정책을 강화했고 성장주도로 적잖은 성과를 냈다. 이제 국가적 위기를 지역 현안으로 챙겨보자는 말이다. 

올해까지 베이비부머(Baby Boomer)의 대부분이 은퇴하면서 산업 전반에 전문인력이 감소하고 향후 저출산 여파로 인적자원은 심각한 부족에 직면할 것이다. 이제 지방화 시대에 걸맞게 지역을 떠나는 청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정책이 필요하다. 우리 지역에 외지 청년들이 머무르고 싶게 만들면 된다. 

내포신도시만 순회하는 셔틀버스를 대학까지 연장해서 학사촌의 젊은이들에게 놀거리를 제공하고 지역문화에 익숙하게 만들어야 한다. 광장에는 버스킹이 열리고 자연스레 젊은이들이 운집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면 된다. 지방정부의 새로운 정책대안들은 중앙정부도 모범사례로 수용할 수 있다. 자치 시대에 지역의 창의성이 본보기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팬데믹이 창궐할 때 병상이 모자라서 도입된 드라이브 스루(drive-through)는 한 지자체가 선도했다. 그 후 이 방법은 전국적으로 추진됐고 미국 같은 선진국도 활용하면서 세계적인 선례가 됐다.

지방의 성공은 무엇보다 이해관계자의 협력(governance)이 기반이다. 관(官) 주도로 시작하되 산(産)·학(學)이 협조하고 주민들이 동참하면 훨씬 수월해진다. 먼저 지방정부는 감동적인 지원정책을 준비해야 한다. 광역지자체는 지역 발전에 필요한 지원사업을 모색하면서 기초자치단체별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렴해야 할 것이다. 외국의 많은 도시는 대학 캠퍼스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를 형성했다. 중앙정부도 지방소멸 방지책으로 지역대학과 협력을 유도하면서 교육재정의 상당 부분을 지자체에 할애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대학은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으로 우수 인재를 양성하고 기업은 지역인재들을 적극적으로 채용해 일손 부족을 해소하면서 넉넉한 직원 복리후생으로 지역 정착을 도와준다면 저출산과 지방소멸은 자연스레 극복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직장에서 육아휴직으로 공백이 생기면 나머지 직원에게도 보상금을 지급한다. 10명의 직원 중 1명이 육아휴직에 들어가면 나머지 9명의 직원에게 100만 엔(한화 1000만 원), 50명 이상의 기업에서는 10만 엔을 지급한다. 즉 육아휴직으로 인한 공백을 ‘고통분담’보다 ‘보상방식’으로 육아휴직 당사자가 구성원들의 눈치를 보지 않고 휴직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했다.

제도와 정책의 성공은 적정한 정책환경이 필요하다. 지도자는 혁신적인 혜안으로 장기적인 비전에 관심을 둬야 한다. 단기 처방보다 지역 존립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책과 적극적인 지도력이 수반될 때 가능하다. 

김진욱 <혜전대학교 교양과 교수, 행정학 박사, 칼럼·독자위원>


<이 칼럼은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