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조직적 대응 못한 군·국회의원 책임져야"

청운대학교(총장 이상렬)가 지방대학교 가운데 처음으로 오는 3월, 인천에 제2캠퍼스 개교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청운대학교 이전반대 주민대책위원회는 조직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군과 지역 국회의원에게 책임이 있다며 강하게 추궁했다.
청운대 인근 주민 100여명은 지난 26일 오후 3시 군청에서 청운대 인천캠퍼스 신설과 관련해 김석환 군수와 면담을 갖고 대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주민들은 "다른 지역은 대학을 유치하기 위해 혈안인데 홍성군은 지역에 있는 대학마저도 타 지역에 빼앗겼다"며 "지역 국회의원과 군수, 군민들이 목숨 걸고 말려야 했는데도 강 건너 불 보듯 했다"고 질타했다. 주민들은 또 "청운대는 1500여명의 학생만 인천으로 이전하는 것으로 발표하고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며, 실제로는 3000~4000여명의 학생이 빠져나가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주민들의 주장에 따르면 기존에 남아있는 일부 학과의 경우에도 일주일 가운데 2~3일은 인천에서 수업을 듣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이전하면 안 되는 대학원도 인천에서 수업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어 주민들은 "학생들이 빠져나간 이후 지난해와는 달리 원룸의 공실률이 50%가 넘고 있다"며 군의 후속 대책을 물었고, "최소 5000만원 이상의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항소심 등의 재판과 관련해 변호사 선임 경비를 지원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김 군수는 "군과 국회의원이 뒷짐 지고 있었다는 표현은 사실과 다르다"며 "이 시점에서는 청운대를 못 가게 막는 방법보다 공실률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도청 직원들이 입주할 수 있도록 군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 다른 상생 방안이 있는지도 함께 찾아보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만약 주민들이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청운대가 편법을 동원해 처음 약속했던 1500명이 아니라 더 많은 학생들이 빠져나간다는 게 사실이라면, 사실여부를 파악해 대책을 강구하고 주민들의 피해 해소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에 앞서 홍성군의회 청운대이전 반대대책 특별위원회는 지난 22일 보도 자료를 통해 "교과부가 대학이전 행정 관련 법률을 입맛대로 취사선택하고 있다며 이 같은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지난 26일 교육과학기술부가 청운대 인천캠퍼스 개설을 최종 승인함에 따라 청운대는 조만간 홍성캠퍼스에 있던 27개 학과 중 국제통상학과 등 10개 학과를 인천 남구 도화동 옛 인천대 부지로 이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청운대 인천캠퍼스는 오는 3월 1일 정식 문을 열고 10개 학과 정원 1500명과 산업체 위탁교육생 2000명 등 모두 3500명의 학생들을 교육시킬 수 있게 됐다.
저작권자 © 홍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