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인, 노동문학관장, 칼럼·독자위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인간다운 삶을 향한 혁명의 시를 부단히 써온 현대중공업 조선소 사내 하청 플랜트 배관공 노동자 출신 조성웅 시인이 2006년 출판사 ‘갈무리’에서 시집 <물으면서 전진한다>를 ‘마이노리티시선’ 24번째로 펴냈다.
시인은, 시인이 시집 서문에 “유서 한 장 그럴듯하게 써 놓지 않으면 열사 칭호도 받지 못하는 타락한 노동운동, 현장 조합원들의 머리를 밟고 허공에 떠 있는 노동조합 집행 권력과 자본가 계급과의 협력 관계, 노동조합 관료제의 법적 제도적 공고화, 이제 노동조합은 혁명의 지렛대가 아니라 부르주아 민주주의를 떠받치는 기둥이다. 더 이상 민주노조는 없다. 그 흔적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라고 선언했듯, 노동조합에조차 기댈 수 없는 노동자들의 실정과 그 극복을 위한 연대를 시집에 생생하게 담았다.
“우리 하청노동자들/우리 하청노동자들, 노조 만들 때 함께 나서서 싸웠고/우리 하청노동자들, 위장 폐업, 물량 철수, 전원 블랙리스트 공포를 체험했고/우리 하청노동자들, 노조 만들어지자 기다렸다는 듯이 가입했고/우리 하청노동자들, 한참을 망설이다가 소주 한 잔에 용기를 내 가입했고/우리 하청노동자들, 노조사무실 근처에서 몇 번씩 망설였지만 사무실 문 열기가 어렵고/우리 하청노동자들, 마음은 굴뚝같지만 처자식들 눈앞에서 어른거리고/우리 하청노동자들, 이제 한번 붙어보자 일어서고 싶고/출퇴근 투쟁 때마다,/우리 하청노동자들 볼 때마다 설렌다/시키면 시키는 대로, 주면 주는대로/정말 죽을 둥 살 둥 일만 해온 서러운 하청 세월/왜 이렇게 닮아있는지/척 보면 하청인지 서로가 안다/자기 밥그릇 지키기 위해 서러움을 나눠가졌고/자기 밥그릇 지키기 위해 비굴함조차 나눠가졌고/다시 자기 밥그릇 지키기 위해 정말 죽을 것 같은/고통을 견뎌내는 강인함까지 나눠가졌다//우리가 가만히 있으니까 가마니로 안다고/사람이 기를 펴고 사는 것이 돈 몇 푼 더 받는 것보다 중요하다고/내 밥그릇 내가 지키겠다고/다시 일어서는 우리 하청노동자들”(시 ‘하청노동자들의 마음은 모두 똑같다’ 전문)

시집에 대해 문학평론가 정남영은 ‘노동의 분할을 넘어서 우리 모두의 하나됨으로’라는 제목의 시집 발문에서 “현재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열악한 조건에 상응하게 이 시집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쟁은 처절한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고 논했으며, 시인 백무산은 뒤표지 글에서 “그의 시에는 삶과 투쟁을 일치시키려는 신실한 노력과 고뇌가 배어 있다. 아내가 해고되던 날 ‘입덧’이 시작됐고 그것은 곧 새로운 희망이 잉태할 것임을 역설적으로 예감하고, ‘밥을 짓는 일도 투쟁’이며, 마침내 삶이 ‘축복받은 투쟁’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삶이 투쟁 이후에 얻어지는 것이 아니며, 투쟁 또한 삶의 일상에서 이탈할 수 없는 것임을 몸의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그것은 제국의 시대에는 자본이 노동력뿐만 아니라 착취의 공간을 삶의 일상에까지 확대하고 있는 데 대한 저항의 표현이다”라고 평했다.
1969년 강릉에서 출생한 시인은 서울예대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시집 <절망하기에도 지친 시간 속에 길이 있다>, <물으면서 전진한다>, <식물성 투쟁의지>, <중심은 비어있었다> 등을 펴냈다. 제5회 박영근작품상을 수상했으나, 조혜영 시인의 고 박영근 시인 사후 발표 시 ‘미투’에 화답, 상을 반납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중공업사내하청지회 지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해방글터’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