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물 계획 협의 요청
찬반 주민들 집단 행동
찬반 주민들 집단 행동

장항선 개량 2단계 철도건설사업의 실시설계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가운데 철도시설공단이 홍성군과 구조물계획 협의에 나서 광천지역 주민 간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홍성군과 지역주민 등에 따르면 철도시설공단은 최근 장항선 개량 2단계 철도건설사업과 관련 구조물계획 협의를 홍성군에 요청했다.
철도시설공단은 홍성군과의 구조물계획 협의를 통해 사업구간 내 하천이나 주변 도로의 폭이나 위치 등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철도시설공단이 장항선 개량사업과 관련한 일련의 절차를 진행하고 나서자 광천지역 주민들 사이에 찬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철도시설공단이 수립한 기본설계안인 2안을 지지하는 벽계리 등 광천 주변 마을 주민들은 지난 2일과 지난 6일 군청 앞에서 집회를 갖고 “철도시설공단이 계획한 2안 대로 사업이 추진돼야 한다”고 말한 뒤 “더불어 신역사와 광천읍 중심도로를 잇는 도로 계획을 2차선에서 4차선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상봉 씨는 “철도시설공단에서 구조물계획 협의에 나서는 등 노선이 사실상 2안으로 확정된 것이나 다름없는 만큼 신역사와 광천읍 중심가를 잇는 도로가 2차선에서 4차선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요구하는 등 광천읍 발전을 위한 실리를 챙길 때”라고 주장했다.
이에 반발해 ‘석면피해주민대책위’ 주민들도 지난 7일 군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2안은 석면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책 없이 철도노선이 결정되어서는 안 된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어 대책위는 홍성군의회를 방문해 석면피해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황현동 광천읍번영회장은 “아무런 대책 없이 철도시설공사의 안으로 추진되면 석면 비산으로 인해 인근 주민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광천에서 생산된 식품에 대한 안전성도 의심 받게 된다”며 “장항선 개량사업은 석면피해가 없는 노선으로 변경돼야 한다”고 반발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철도시설공단 측에서 구조물계획 협의를 하자고 요구하고 있지만 석면에 대한 대책을 내놓지 않은 상황에서 협의는 곤란하다”며 “어떤 안으로 추진하건 석면에 대한 대책을 제시해야 협의에 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홍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