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사랑큰축제 ‘홍주문화제’로 명칭변경 논란
상태바
내포사랑큰축제 ‘홍주문화제’로 명칭변경 논란
  • 전용식 기자
  • 승인 2008.07.16 13: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누구를 위한 명칭변경 인가?

▲ 지난 2007년 내포사랑큰축제 공연 장면

“홍주문화제로 명칭을 변경하여 홍성만의 색을 잘 표현해야 방송에도 내보낼 수 있다”
지난 10일 홍성문화원에서 개최된 ‘2008 내포사랑큰축제 제2차 추진위원회 회의’에서는 난데없이 신동환 한국방송플러스 대표가 나타나 ‘홍주문화제’로 명칭을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해 파문이 일고 있다.
이날 신동환 사장은 “과거 홍주는 홍성의 역사상 가장 찬란했던 시절의 명칭이었다”며 “과거 홍주목의 위상을 나타낼 수 있는 홍주문화제를 부활시켜 홍주의 가치를 살릴 수 있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주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새로운 컨셉의 발굴이 필요하다”며 “‘홍주역사 천년의 부활’을 주제로 삼아 홍주역사 문화 1000년의 발자취, 홍주역사 문화 부활을 꿈꾸며, 홍주의 풍요로운 오늘과 내일로 나눠 구성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축제 예술감독 및 연출자 등의 민간 전문가를 활용해서 체계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며 “TV spot 제작과 송출 및 정규방송이나 기타 매체를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알기 쉽게 한국방송플러스에서 축제의 모든 기획과 무대, 음향, 연출 등을 해서 KBS 싱싱플러스나 VJ특공대, 6시 내고향 등의 방송에 내보내겠다는 것이다.
브랜드슬로건에 이어 축제까지 영역을 확장한 것이다. 방송에 내보내면 외지 관광객들의 유입에 얼마나 큰 작용을 하는지 의문이 드는 부분이다.
비록 작년 개최된 광천토굴새우젓, 조선김축제가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은 이면에는 수도권지역에 무료관광버스를 수십 대 동원하는 등의 자구책을 강구했기 때문이고, 김장철이라는 특수를 누린 탓이라는 것이다. 결코 방송이 절대적 잣대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이날 모든 진행사항을 지켜본 주민은 “추진위원회 위원은 아니지만 주민의 한사람으로서 한마디 하겠다”며 “2년 전에 군에 의견을 제안한 적이 있었는데 무시당했다. 또한 오늘 제시한 내용역시 평이한 수준이다. 어느 지역에 갖다가 맞춰도 되는 내용이었다”고 꼬집었다.
익명을 요구한 추진위원은 “며칠 전에 신동환 대표가 문화원에 와서 몇몇 관계자와 간담회를 가진 후 오늘 발표를 하게 됐다”며 “지금 시점에서 왜 명칭변경이 나왔는지 추진위원인 나조차도 황당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전용택 문화원장은 회의를 진행하는 자리에서 “내포축제의 정체성 논란은 3회째부터였다. 그동안 내포를 안고 가느냐 마느냐의 논란이 많았다”며 “내포축제는 도청유치를 위한 명칭이었기 때문에 도청이전이 확정됐으니까 바꿔야 한다는 여론이 많다”고 밝혔다.
또한 “올해는 내포사랑큰축제로 가고 내년에 명칭변경이 바람직한 것 같다”며 “금년에 명칭변경을 하면 작년 충남도에서 받은 시상금 1억원의 수령을 포기해야 하니 축제 후에 여론수렴 등을 통해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A 대표는 홍주문화제로의 명칭변경에 따른 문제점을 언급한 유인물은 누가 작성한 것인가 질의를 하며 “바꿔야할 타당한 명분과 득이 있으면 바꿔야 한다. 소탐대실(小貪大失)을 자초할 수 있으니 1억은 포기하자”고 주장했다. 1억을...
이날 이러한 A 대표의 발언 후 본 기자는 바꿔야할 타당한 명분이 무엇이고 1억이 작은 금액이냐고 공개질의를 했다. 이렇듯 두 차례에 걸쳐 질의하자 혼자 앉아있던 A 대표는 군 관계자들이 앉아있던 자리로 이동을 해 무언가를 상의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전에 무슨 밀약이 있었나? 
이러한 의문을 입증하듯 모 신문은 지난 11일 ‘홍성축제의 민간위탁, 그 허와 실을 짚어봐야’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중략) 추진위원회는 이를 위해 축제의 명칭부터 바꾸고자 했다. 타당한 시도다. (중략) 다음으로 민간의 전문 지식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성공적인 축제를 위한 기획과 집행, 그리고 평가를 담당할 전문가 그룹의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들이 새 술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저 입맛에 맞는 고만고만한 사람들로 시스템을 구성한다면 새 술은커녕 이 전의 술만큼도 못 빚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지금이라도 지역의 전문가를 충분히 활용하자. 그들이 기획하고 연출할 수 있는 권한을 줘라. 그리고 평가에 대한 책임 또한 그들에게 주면 된다. 그게 바로 진정한 민간위탁의 형식이다”고 입장을 명확히 했다.
지역의 전문가? 누가 지역의 전문가라는 말인가? 평가에 대한 책임? 그렇다면 축제추진위에서 외지관광객 30만 명을 제시해서 계약을 맺으면 된다. 군의 축제 결과 보고서에 의하면 작년 내포사랑큰축제에 20만 명이 왔다니까 최소 30만 명은 보장받아야 한다.
지역의 전문가를 충분히 활용하려면 공개공모를 하면 된다. 결코 지역사람이라고 해서 기획이나 연출 등 아이디어가 뒤떨어지지 않는다.
한 가지 다행인 점은 전 문화원장은 이날도 언제든지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면 제안서를 보내달라고 주문했고 언제든지 반영하겠다고 밝혔다는 것이다.
이날 저녁 전 문화원장은 기자한테 전화로 분명히 말했다.
“긴급 이사회를 집행한 결과 명칭변경 없이 올해는 내포사랑큰축제로 가기로 했다”며 “무슨 대단한 아이디어를 내놓나 기대를 했는데 별다른 것 없이 기존의 우리 행사내용을 집어넣어서 실망스러웠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은 시간적 여유가 없으니 내년에 평가회나 주민설명회를 통해 군민의 의견을 듣고 결정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