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뉴스 <2>
상태바
가짜 뉴스 <2>
  • 윤장렬 칼럼위원
  • 승인 2017.03.20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본문낚시 제목이나 선정적 내용, 사실관계의 오류 그리고 네티즌의 반응을 살피며 어뷰징 기사를 양산하는 우리 언론의 상황은 이미 공공연한 사실이다. 언론사들은 인터넷 시대에 광고 수익을 얻기 위한 자구책이라고 항변하지만, 공영방송(KBS, MBC)과 국가 기관 뉴스 통신사(연합뉴스)가 진실을 가짜로, 가짜를 진실로 포장하는 뉴스들을 생산하고 있다. 얼마 전 MBC 신임 사장 선임은 더욱더 노골적인 ‘가짜 뉴스’의 확산을 예고했다. 공,민영 할 것 없이 앞다투어 ‘가짜 뉴스’를 만들어야 하는 찰나이다. 그런데 참으로 가관인 것은 이들이 ‘가짜 뉴스’를 재단해 뉴스의 질을 거론하려 하고 있다.

문제는 대중들이 ‘가짜 뉴스’에 둔감하다는 점이다. 왜곡, 조작 등 오보를 아무리 해도 윤리적, 사회적 책임을 추궁하거나 역사적 심판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언론사와 기자 또한 ‘가짜 뉴스’에 둔감해졌다. 2012년 영국 BBC는 유명 정치인을 아동 성학대범으로 잘못 보도한 데 책임을 지고 조지 엔트위슬 사장이 사퇴했다. 1983년 독일의 시사 잡지 슈테른은 가짜 히틀러 일기장을 보도하며 “나치의 역사는 새로 기술해야 한다”고 보도했다가 일기장이 가짜로 판명된 이후 편집장과 기자가 형사 처분을 받았다. 1989년 일본 아사히신문은 자사 기자가 오키나와 거대 산호초에 ‘KY’낙서를 한 뒤 누군가 낙서를 했다며 거짓 기사를 내보내자, 해당 오보 과정을 철저히 규명한 뒤 아사히신문 사장이 사임했다.

2014년 세월호 전원 구조라는 ‘가짜 뉴스’이후 우리는 어떻게 대처했는가? ‘촛불 집회 100만 vs 태극기 집회 300만’이라는 뉴스가 난무하는 요즘, 미치광이의 말 한마디가 진실로 포장되기 쉬운 세상이 되어 버렸다. 안타깝게도 아직 우리 사회에 남은 충돌의 요소들이 산재해 있으며, 그래서 더 많은 ‘가짜 뉴스’가 등장할 것이라는 우려이다. ‘가짜 뉴스’를 최소화하기란, 민주 사회의 구현과 동일한 문제이다. 변화의 첫걸음으로 지금 내가 읽고 있는 뉴스 기사가 어떤 언론사의 기사이며 어떤 기자가 작성했는지, 뉴스의 출처를 확인하는 습관을 제안해 본다. 그리고 뉴스 기사는 포털의 검색 순위를 통한 소비가 아닌, 종이 신문이나 언론사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해 읽고, 보는 이용행태를 만들어 보자.

윤장렬 칼럼위원<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 언론학 박사과정>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