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교수는 단기적 방안으로 “공동연구용역이나 연구포럼을 실시하고 통합도시의 비전, 각종 예산사업의 지역적 배분기준, 행정기관 배치 등 쟁점사항들을 사전에 검토하여 통합의 실질적 이익에 대해 주민들에게 제시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것”을 제안했다.
장기적 방안으로는 “충남도청 이전을 기회로 하여 공동으로 발전시킬 청사진을 마련하고 행정기관의 이전을 통한 지역발전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며 “두 지역의 산업구조도 상호 유사한 만큼 이를 장점으로 부각시켜 규모의 경제를 가져오는 윈-윈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두 지역이 통합되면 도청소재지이자 행정중심거점도시로서 크게 발전할 수 있는 만큼 통합을 통한 지역발전의 비전을 구체화해야 한다”며 “두 지역이 별도 자치단체로 존재하면 많은 행정낭비와 주민 불편이 수반될 수 있지만, 도청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교통연계망 확충으로 지역간 주민 이동이 활발해지고, 장기적 측면에서 공무원 인건비 절감 등을 통해 통합재정의 건전성 확보에도 유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홍성을 중심으로 예산, 서산, 태안, 당진, 보령, 아산 일부가 내포문화권에 포함된 지역으로 도청신도시를 중심으로 지역 간 연계망 확충을 위한 광범위한 시·군 통합 논의가 전개될 필요도 있다”며 “서부는 행정구역의 인접성을 고려해 천안+아산, 서산+태안 등을 비롯해 도청신도시라는 테마를 중심으로 홍성+예산+당진의 통합 논의도 폭넓게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