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공교육, 발상의 전환 하라
상태바
영어 공교육, 발상의 전환 하라
  • 편집국
  • 승인 2008.02.04 13: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 정부의 ‘영어 공교육 강화 계획’에 대한 논란이 거세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각계 의견 수렴을 위해 30일 개최한 ‘영어 공교육 완성을 위한 실천방안 공청회’에서도 총론 찬성, 각론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그만큼 영어교육은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다. 영어를 배우기 위해 들어가는 사교육비가 연간 15조원에 달하고, 해마다 3만명 이상이 해외로 유학 가는 현실에서 영어 공교육 강화는 때늦은 감이 없지 않다.
인수위의 영어 공교육 강화 목표는 사교육을 받지 않고도 학교 내 영어교육만으로도 영어를 말하고 쓰고 들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중·고·대학에서 10년간 영어를 공부하고도 제대로 대화를 못하는 현행 영어교육체계는 고쳐져야 마땅하다. 시대적 요청이기도 하다.
그러나 방법이 문제다. 영어 수업이 곧 학생들의 영어실력을 올릴 것인지, 영어전용교사 2만3000명의 2013년까지 확보는 가능한지, 4조원의 재원 확보는 어찌할 것인지 등이 논란의 핵심이다. 일부에서는 사교육비 증가는 물론 해외 연수 및 유학생까지 거꾸로 증가할지 모른다는 우려도 한다. 그러나 기본 방향이 정해졌다면 해결의 길은 있다.
특히 영어전용교사의 경우 교직의 진입장벽 완화가 선결과제다.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 출신이 아니라도 영어에 능통한 해외 장기 주재원 또는 그 부인이나 자녀 등이 소정의 절차를 거쳤을 때 얼마든지 활용이 가능하다. 인수위 생각처럼 영미에서의 석사 출신으로 자격을 제한하기보다 4년제 정규대학을 나온 이들이 영어교육 면에서 나을 수도 있다. 기준을 너무 높게 잡지 말라는 것이다.
초·중·고의 수준별 교육을 통해 영어교사의 능력별 배치도 가능하다. 라디오.TV방송 채널을 활용, 생활영어의 사회적 폭을 넓혀야 한다.
그러나 영어회화 능력이 새로운 신분이 돼서는 안 된다. 영어 능통자에 대한 병역 면제 등의 생각은 곤란하다.
인수위의 영어 공교육 강화는 대담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교직사회의 담을 헐어내 실력 위주로 가게 해야 한다. 원하는 지방자치단체별로 싱가포르식 제2 공용어로 영어를 활용케 해 성공할 경우 뒤따라갈 곳도 없지 않다. 소설가 복거일 씨는 이미 80년대부터 영어공용화를 주장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