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오피니언
전체
감성노트
고사 나들이
고암의 삶과 예술여정
고암 이응노 화백의 그림 이야기
공감엽서
공감시선
교단일기
곤충의 신비
기자수첩
기자의 눈
길 위에서
나라살림
김상구 교수의 논단
내 삶을 바꿀 인생 책
내포의 창
너나들이
노년의 삶
노동문학책 이야기
녹색상상력
녹색체험
눈꼽재기창
데스크 시감
데스크 칼럼
독자기고
독자투고
독자 시
돋보기
동행
마을여담
마음산책
마을이야기
매혹적인 영화인문학
명상의 숲
문화칼럼
문학카페
박영준 원장의 한방의학 칼럼
베를린에서 온 편지
법률상식
뷰파인더
사색의 뜰
사설
산책로
삶, 등대불빛
생활 속의 부동산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
세상보기
세상읽기
세정독백
소소당당
숲이야기
그건 그래
시사칼럼
시로 찾는 '너른 고을 홍성'
시선1318
시평
아무튼 환경시민
아실세배권
여하정 산책
우암 단상
의정칼럼
의학칼럼
인생 이모작
저출산·고령화시대, 삶의 창·희망보고서
정책과 시선
조양로
지역언론의 길을 읽다
조사(弔辭)
지역을 바꾸는 녹색문고
직언직설
출향인 한마디
청·진·기 마음in
캐나다통신
특별기고
하승수 칼럼
홍주로
홍주문단
홍주산책
홍주성지의 뜰
희망봉
함께 만드는 녹색전환
법의 눈으로 보다
기획특집
전체
2009년 기획취재
손규성의 홍주골 톺아보기
한관우의 홍성비전 희망수첩
2010년 기획취재
우리동네 행복마을
홍주골 골목 기행
유태헌의 백두대간 종주기
6.25전쟁 60주년 특집연재
산꾼 유태헌의 전국 100대 명산 산행기
홍주골 2050 희망 리더
2011년 기획취재
지역농업 특화사업으로 농업 경쟁력 키운다
항일독립운동의 현장을 가다
홍성의 도시브랜드, '문화·예술이 답이다'
경관농업, 홍성군의 새로운 농촌 소득창출 대안이다
2012년 기획취재
FTA파고 넘는 농축산 블루오션, 친환경이 답이다
함께 살아가는 세상, 사회적기업이 해법이다
삼성-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5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말하다
척박한 지방문화현장에서 이응노 기념관의 활로 찾기
폐교, 지역 구심점으로 거듭나다
농어촌체험관광, 프로만이 살아남는다
바람직한 홍성·예산 통합 방안을 찾다
빗물활용, 녹색성장도시로 가는 출발선이다
전통과 현대의 어울림, 한옥마을 도시브랜드화 전략
지역사회복지, 사회적경제로 실현하자
농촌경제, 희망을 찾아서
2013년 기획취재
마을을 먹여살리는 마을기업
지역경제 선순환 활성화가 해답이다
'홍주' 지명역사 1000년, 기념사업 추진하자
폐기물도 자원이다
산꾼 유태헌·한관우 기자의 금북정맥 탐사
친환경농축산 앞당기는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문화예술로 바라본 공유경제
가축분뇨 자원화로 친환경축산 앞당긴다★
사회적경제로 해법찾는 도시재생
한관우 본지 발행인, 유럽의 지역신문을 가다
2014년 기획취재
도시재생사업, 지역의 경쟁력이다
친환경 녹색도시의 시작 자연형 하천복원
환경파괴가 부른 재앙 충청해안의 토사퇴적
만해 한용운의 발자취를 찾아서
홍성농업, 농민과 친환경이 답이다
홍성이 낳은 세계적 화가 고암 이응노
장희구 박사의 만해 한용운의 시 읽기
천주교 홍주순교성지 성역화·관광자원화가 ‘답’
2015년 기획취재
충청 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다
위기의 독거노인, 그룹홈이 대안일까?
바다영토경계분쟁 해결의 실마리를 찾자
지역신문의 콘텐츠와 매체다각화
말산업과 지역경제
뭉쳐야산다, 사회적협동조합
홍성을 세계적인 오카리나 메카로 만들자
지명역사 1000년 ‘홍주’ 고유지명 되찾자
광천젓갈의 생존전략 공생이 답이다
홍성의 골목상권 경쟁력 테마로 승부한다
농촌의 소규모 학교가 살아야 지역도 살아난다
옛골목길, 스토리와 디자인을 입혀야 뜬다
사라지는 전통가업, 대를 잇는 사람에게 길을 묻다
홍성, 폐기물 재활용·생태환경 예술의 메카로 만들자
홍성에서 출발하는 내포지역 천주교 공소 탐험
홍성을 작은 박물관도시로 만들자
홍성의 옛 고유지명‘홍주’를 함께 찾아요
2016년 기획취재
물부족 가뭄극복, 빗물활용 물관리가 경쟁력이다
청년의 창의적인 생각이 창조농업이끈다
고령사회 홍성, 노인고용에 눈을 돌리자
역사문화도시 홍성, 지역문화재단 통해 현실화 되나
작은 동네책방의 희망과 전략, 공동체문화예술 소통공간을 꿈꾸다
용봉산평화인권공원(가칭) 어떻게 조성해야 할까?
<사람이 희망이다>홍성의 인맥-홍성출향인을 찾아서
자유학기제, 농촌학교와 마을을 잇는다
홍주지역 중고제와 한성준의 맥, 그 소리와 가락의 복원
홍성 문화예술마을조성,무엇을 담아야 하나
홍주천주교순교성지, 부활을 꿈꾸다
고택의 재발견-선비정신과 공간의 미학, 문화관광자원화 방안의 지혜를 읽다
새로 쓰는 홍주의병사, 치열했던 구국항쟁의 진원지 탐사
폐교에 홍성군립미술관 건립 가능할까?
자원봉사로 행복한 삶과 희망을 함께 나눠요
홍성의 친환경 축산의 미래, 유기축산에서 답을 찾다
2017년 기획취재
가축분뇨, 축산악취, 해결방법은 없을까?
위기의 작은학교 특성화로 되살리자
자유학기제 시행 1년, 아이들이 행복한 진로교육
건강한 마을공동체 만들기, 왜 어린이도서관인가?
가업을 잇는 청년, 청년CEO, ‘농촌에서 삶의 가치를 찾다’
일제시대 아시아 최대 석면광산 충남, 안전지대일까?
지명역사 1000년 자치단체, 무엇을 기념할 것인가?
용도 폐기된 공공건축물의 재활용 방안
전통발효식품, 농업농촌 신혁신 모델 되다
천년홍주, 지역사를 다시 읽다
2018년 기획취재
농촌의 빈집에서 도시재생의 길을 찾다
폐교위기 농어촌 작은학교에서 희망을 찾다
충청권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도시청년들, 귀농·귀촌의 꿈을 실현하다
당신의 자소서
다 함께 홍성사람-다문화가족 만세
로컬뉴스 활용을 통한 독자마케팅 활성화
역사자료로 살펴보는 수룡동 마을
삶과 기억의 편린
순간포착 미디어속으로
2019년 기획취재
천년 역사문화유산 홍주성의 부활
충남의 문화재 재발견
만해 한용운의 정신과 흔적 따라 5000리 길을 가다
헌책방에서 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길을 묻다
마을의 역사문화·공동체의 삶을 읽다
충남의 자연유산 마을 숲, 미세먼지시대 공동체의 삶과 생명의 공간이다
이주노동자 '그들'이 아닌 '우리'다
미디어를 통한 마을 공동체 회복을 꿈꾸다
2020년 기획취재
'우리가 자란 땅' 천년홍주100경
천년역사도시, 홍성도심재생 젊은 문화도시가 답이다
풀뿌리미디어 마을신문, 동네를 바꾼다
홍성군 청사이전, 균형발전 기회인가? 위기인가?
농어촌 빈집·폐건물, 공유경제 가치를 담다
천년의 역사를 담은 땅, 지역의 정체성과 미래를 묻다
화가 전만성의 길따라 마음따라
2021년 기획취재
도심속 자연하천, 생명과 문화가 흐른다
지역문학관 활성화 방안을 찾다
충남혁신도시, 테마·스토리 입혀야 사람이 몰린다
전통시장 활성화, 그곳엔 삶과 문화가 흐른다
도심 생태하천 복원, 주민들의 행복공간 복원이다
혁신도시, 현장에서 미래의 길을 묻다
2022년 기획취재
전통에서 새로운 가치를 찾다, 100년 가업을 잇는 사람들
폐건물·폐산업시설, 문화재생 가치를 담다
생태경관 농업유산, 다랑이논을 보존하자
사라지는 원도심 근대문화유산, 어떻게 보존·관리할까
농촌지역 폐교의 재발견, 문화예술이 꽃피다
국가숲길에서 내포문화숲길의 역사와 문화를 묻다
국가숲길, 내포문화숲길의 역사·문화유산
희망마을공동체 스토리
충청·홍주의병 발상지 홍주
2023년 기획취재
고치고, 바꾸고, 새롭게 캠페인
홍성 원도심 활성화, 특화거리에서 답을 찾다
충남의병기념관, 충남의 항일·의병정신 어떻게 담을까
국내 최대 석면피해지역 충남, ‘석면피해기록관’을 세우자
충남도청신도시 주변마을 문화유산
고향사랑기부제, 일본은 어떻게 성공했나?
100년 정미소·양조장에 문화예술이 꽃피다
2024년 기획취재
1894~2024 동학 130년, 충남동학혁명 현장을 가다
충청의 재발견, 100년 술도가 전통의 향기를 빚다
내포순례길 신앙의 요람지를 가다
골칫거리 ‘돼지똥’은 어떻게 마을 재산이 됐나?
지역소멸 대안, 청년·문화가 뜨는 로컬콘텐츠가 답이다
2025년 기획취재
충청문화유산 재발견, 옛담의 미학-돌담이 아름다운 마을
지방소멸 인구감소시대, 충청의 마을공동체 소멸위기 현장을 가다
광복 80주년, 충남의 독립운동 현장을 가다
일제강점기·해방공간 문학의 배경도시, 역사·문화관광 로컬브랜드로
지역축제 포화시대, 지역성을 담은 축제로 변해야 한다
광복 80주년, 우리지역의 광복을 다시 읽다
자치행정
전체
홍성군
홍성군의회
예산군
예산군의회
충남도
충남도의회
정치
전체
정치일반
국회·정당
농업
전체
농업일반
기관·단체
강소농·강소기업
홍성농업의 미래를 말하다
농촌의 힘, 홍성의 발전을 꾀하다
골칫거리 ‘돼지똥’은 어떻게 마을 재산이 됐나?
경제
전체
경제일반
기업
금융
부동산
사회
전체
사회일반
사건·사고
검찰·법원
호국·보훈
복지
의료·보건
출산·육아
환경
교통
여성
다문화
장애인
궂긴소식
예식·피로연
인사
새의자
종교
나눔현장
교육
전체
교육일반
마을이 곧 학교다, 색깔있는 마을학교
동아리 탐방
인구소멸위기, 학교가 사라진다
예산꿈빛학교, 아이들의 꿈을 키우다
작은 학교가 농촌의 희망이다
철이삼촌의 쉼터이야기
문화
전체
문화일반
언론·미디어
행사·축제
공연·전시
공모·대회
문화초대석
책
영화
레저·관광
여행
문화재
역사·인물
스포츠
전체
스포츠 일반
인터뷰
동호회
행사·축제
대회 소식
대회 결과
사람들
전체
내 고향은 홍성, 출향인
홍주人홍주in
홍성에 살다
전체
곤충이야기
기관·단체
마을신문
마을에서 만난 사람
마음을 전해요
맛집멋집
미디어속으로
야생화 이야기
어르신들의 이야기 그림
우리마을 이장
우리지역 각양각색 문화예술인
이웃이야기
이장스피커
사람 사는 세상 홍성
사람이 희망이다
생활건강상식365
생활상식
신설상가
천년홍주길을 걷다
JOB(잡)스러운 수다생활
청춘불패
홍성, 색으로 물들다
할머니기자단
홍성별의별농장
행복해지는 그림그리기
예산에 살다
전체
이웃이야기
기관·단체
충남에 살다
전체
이웃이야기
기관·단체
충남내포혁신도시
선거
전체
2026 6·3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5 6·3 제21대 대통령선거
2025 3·5 제1회 전국동시새마을금고이사장선거
2024 11·23 제21대 홍성문화원장선거
2024 4·10 제22대 국회의원선거
2023 3·8 제3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2022 6·1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2 3·9 제20대 대통령선거
2020 4·15 제21대 국회의원선거
2019 3·13 제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2018 6·13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7 5·9 제19대 대통령선거
2016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
2015 3·11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2014 6·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2 4·11 제19대 국회의원선거
2012 12·19 제18대 대통령선거
2010 6·2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8 4·9 제18대 국회의원선거
2007 12·19 제17대 대통령선거
공명선거캠페인
후보공약점검
이슈&이슈
전체
데이터로 바라본 예산
데이터로 바라본 충남
데이터로 바라본 홍성
지역현안 브리핑
우리 지역 추진사업
코로나19
홍주일보
전체
공동체 캠페인
두뇌, 생각의 힘을 키우는 스도쿠
만평
사고
사령
지면평가
환경보호실천 캠페인
포토뉴스
전체
포토
영상뉴스
전체
영상
지면광고
시작페이지
즐겨찾기
UPDATED. 2025-07-02 03:25 (수)
처음으로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기사
RSS
검색
기사검색
검색
상세검색
×
전체보기
뉴스
자치행정
정치
농업
경제
사회
교육
문화
스포츠
충남내포혁신도시
오피니언
칼럼
독자기고
사설
기획특집
사람들
홍주人홍주in
내 고향은 홍성, 출향인
이웃이야기
마을신문
기관·단체
홍성에 살다
공동체 캠페인
생활상식
열린광장
자유게시판
공지사항
구독신청
광고문의
기사제보
후원안내
홍주일보홍주방송
2025년 충남 홍성 거북이마을 수선화축제
장곡면 쓰레기 유랑극단, 첫 번째 창작극 ‘쓰레기가 어때서’
닉네임
비밀번호
제목
게시물 옵션
비밀글로 설정
자동등록방지
내용
개인적으로 저와생각이비슷한거 같아서 한번 옮겨 봤습니다. 1년 뒤 위험수위를 넘어선 전세 대란이 올 것이라는 것에는 모든 부동산 전문가들이 한입을 모은다는군요. 가격이 상승한다, 아님 조정이다에는 선대인처럼 일부 소수 부류가 있어 의견이 엇갈리기도 하지만요. 수요 공급의 원칙에 입각해서 올해가 조정의 시기여서 내년엔 반등이 온다는 측과 일본의 버블하락을 주장하는 측도 있지요. 다만 일본의 부동산 버블하락시에는 80년대 말 경제 위기가 선두되었으며 그 시기는 증시 폭락 후 3년 뒤에 왔습니다. 먼저 주가가 4만 포인트 가까이에서 현 수준의 1만 이하 포인트까지 1/4토막으로 떨어졌으며 실업자율은 두배 이상으로 급등하는 등의 경제 폭락 여파로 3년뒤 부동산이 폭락했다는 것이 우리나라와는 다른 점입니다. 우리나라가 코스피 2천 수준이고 미국이 1만포인트대 수준이라면 20년전 4만 포인트까지 단기 과열로 급등 후 1만 포인트대까지 다시 돌아온 일본의 버블경제와는 우리나라와 지표적으로도 많은 차이가 나고 각국에서 우리나라 증시는 저평가 되있다는 견해가 많으니 우리나라 성장가능성은 버블보다는 저평가로 아직도 많이 열려있다고 봐야겠지요. ^^* 소형 중심으로 바닥을 친 것은 확실합니다. 인천 시세의 바로미터인 계산택지 소형 갖고 있는데 올해 가장 저렴하게 팔린 가격이 1억 7백만원이고 전세는 7천이상으로 이것도 내놓지도 않았는데 부동산에서 전세 놓으시라고 자주 전화가 올 정도로 귀합니다. 실제로 이 가격이 매도 된 뒤 실제 시장에서는 급급매물의 (완전 최저 가격) 가격이 5백씩 오른 상태입니다. 지금 전세와 매매가격이 3천여만원 차이가 나는데 전세가 5백만원 올가을 한차례 더 오르고 만약 매매가가 한차례 더 떨어진다면 2천만원 이하의 갭이 차이나기도 좀 뭐시기한 상황입니다. 서울도 그렇고 소문을 들어보면 각 인기지역 소형 위주로 벌써 이런곳이 많을 겁니다. 요즘 거래되는 것들은 급매물들이어서 대부분 거래가 이루어져도 시세 변동에는 영향을 주지않아 현장을 유심히 들여다 보지 않으면 사뭇 놓치기 쉬운 정보입니다. 여기에는 소형 공급부족의 품귀현상이 원인일 수도 있고 또한가지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은퇴 후 고정 수입 창출을 위한 소형 주택의 인기는 당분간 점점 지속 될 것이라는 견해가 많더군요.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있고, 수도권 수익형 부동산과 소형 위주로 회복되고 있고, 땅값이 상승하고 있고, 부동산 경기 침체의 원인 제공을 한 지방의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내년엔 시간이 흐를수록 사상 유례없던 전세 대란은 피할 수가 없는 상태입니다. 2007년 공급과잉으로 지금 고생하고 있는 원인을 뚜렷이 알고 있다면 내년엔 올해와 분명히 다르겠지요. 이후 공급이 없었으니까요. 그거 아시는가요? 그 잘나갔던 2007년도에도 미분양 수는 10만 가구에 달했습니다. 이정도 미분양 수치는 기본 베이스로 깔고 시장에서 순환된다고 보심됩니다. 이젠 지방 미분양도 많이 해소되었지요. 더이상 공급과잉과 미분양은 건설사의 리스크가 될 수 없습니다. 지금 시장의 악재가 남아 있다면 불안한 심리뿐입니다. 올해 초부터 자산가들은 이미 경쟁력 있는 곳의 부동산을 대거 사들이고 있답니다. 경매시장에서 유명한 전문가의 얘기입니다. 그분 얘기로는 금번 8월 부동산정책 발표 후 어찌됐던 시장의 턴어라운드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군요. 이런 될 곳들은 요즘도 85%이상의 낙찰율을 보인다는군요. 우리가 요즘 자주보는 자극적인 기사에서는 볼 수 없던 내용들입니다. 이제 조금있으면 자산가들이 부동산시장을 뒤흔들꺼라는 얘깁니다. 주식에 큰손들이 붙는 것처럼요. 저야 서민이니 자산가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는 모르지만 다만 이런 얘기가 스믈스믈 흘러 나오는 것 자체가 시장이 괜찮아지고는 있는 것 같습니다. 각종 경제지표가 회복하고 있습니다. 이명박이 정치를 잘못하고 있는 것 보다는 우리가 괜시리 불안을 스스로 조장해서 떨고 있는건 아닌지...이성을 찾고 보니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경제대통령 답게 경제는 잘 호전되고 있습니다. 요즘 이슈인 보금자리 우리나라는 다른나라와 달리 전세임대 제도가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보금자리가 필요 할수도 있고 필요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정부 말대로 타국에서도 보금자리와 일반아파트는 수요층이 다르다고 합니다. 보금자리는 말 그대로 실거주의 목적이고 일반아파트는 투자의 의미가 더 큽니다. 수요층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가격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는 얘기지요. 어찌됐던 다른것은 다 제쳐두고 분명한 점은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할 것이 시장이 뒤흔들릴 정도로 우리나라에서만 이렇게 큰 반응을 하는 것은 우리나라와는 맞지 않는 정책일수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오히려 우리가 괜시리 불안을 스스로 조장해서 불안이 불안을 낳아서 그런건 아닌지... 마지막으로 판단은 각자 알아서 하시고... 저라면 모두 포기한체 하락을 대비 하지 않고 한줄기 빛을 보고 앞으로의 회복을 준비할겁니다. 옛날 농경 중심사회에서 다른사람들이 지구가 곧 멸망한다고 큰소리로 외쳐대도 한그루의 사과나무를 심은 것처럼요. 어차피 시장은 상위 20%가 움직이고 자본주의사회에서 모두 똑같은 수익을 낼 수는 없습니다. 그 상위 20%가 되시길... [출처] 2011년 부동산 전망 (아름다운 내집갖기) |작성자 눈부신 <body bgcolor="white" text="black" link="blue" vlink="purple" alink="red"> <A href="http://thesportsspot.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thesportsspot</font></A> <A href="http://venecija.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venecija</font></A> <A href="http://actwise.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actwise</font></A> <A href="http://ifstone.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ifstone</font></A> <A href="http://tomhsu.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tomhsu</font></A> <A href="http://flocc.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flocc</font></A> <A href="http://voiceoforegon.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voiceoforegon</font></A> <A href="http://hopesports.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hopesports</font></A> <A href="http://ipaidbyplate.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ipaidbyplate</font></A> <A href="http://municipalitee.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municipalitee</font></A> <A href="http://cyotube.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cyotube</font></A> <A href="http://like.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like</font></A> <A href="http://hopesports3.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hopesports3</font></A> <A href="http://polloking.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polloking</font></A> <A href="http://lldomains.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lldomains</font></A> <A href="http://cousinhood.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cousinhood</font></A> <A href="http://weariest.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weariest</font></A> <A href="http://pkreports.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pkreports</font></A> <A href="http://evansfriends.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evansfriends</font></A> <A href="http://chevadesigns.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chevadesigns</font></A> <A href="http://delvalnews.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delvalnews</font></A> <A href="http://kidmanual.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kidmanual</font></A> <A href="http://parppills.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parppills</font></A> <A href="http://amigosdelcole.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amigosdelcole</font></A> <A href="http://amigosdelcole1.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amigosdelcole1</font></A> <A href="http://parppill.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parppill</font></A> <A href="http://cybercemetary.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cybercemetary</font></A> <A href="http://puntobcn.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puntobcn</font></A> <A href="http://eternalgi.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eternalgi</font></A> <A href="http://heartsfound.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heartsfound</font></A> <A href="http://angelasbistro.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angelasbistro</font></A> <A href="http://ashse.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ashse</font></A> <A href="http://danuska.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danuska</font></A> <A href="http://revproperties.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revproperties</font></A> <A href="http://dansle.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dansle</font></A> <A href="http://imaginecinema.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imaginecinema</font></A> <A href="http://daveedmonds.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daveedmonds</font></A> <A href="http://sudanbiz.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sudanbiz</font></A> <A href="http://castastudios.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castastudios</font></A> <A href="http://oncopolicy.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oncopolicy</font></A> <A href="http://karisjewelry.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karisjewelry</font></A> <A href="http://haydiyemek.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haydiyemek</font></A> <A href="http://papayababy.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papayababy</font></A> <A href="http://lavabutter.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lavabutter</font></A> <A href="http://petaclick.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petaclick</font></A> <A href="http://dcielectric.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dcielectric</font></A> <A href="http://heavenlyebiz.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heavenlyebiz</font></A> <A href="http://puntbcn.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puntbcn</font></A> <A href="http://efmatrix.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efmatrix</font></A> <A href="http://aoktour.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aoktour</font></A> <A href="http://jadedphoenix.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jadedphoenix</font></A> <A href="http://cybermarauder.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cybermarauder</font></A> <A href="http://mamansolo.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mamansolo</font></A> <A href="http://syriasport.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syriasport</font></A> <A href="http://dvirtualtours.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dvirtualtours</font></A> <A href="http://merkeziklinik.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merkeziklinik</font></A> <A href="http://rgiii.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rgiii</font></A> <A href="http://pedaclick.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pedaclick</font></A> <A href="http://cercafilm.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cercafilm</font></A> <A href="http://akinoni.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akinoni</font></A> <A href="http://echofuse.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echofuse</font></A> <A href="http://tatooprix.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tatooprix</font></A> <A href="http://ugetwealthy.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ugetwealthy</font></A> <A href="http://doido.sj1.kr" target=_blank><font color="white"><font color="white">doido</font></font></A><font color="white"> </font> </body>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