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흔든 성폭력 의혹 피해자, 회유·압박 폭로 ‘2차 피해’ 논란
상태바
지역사회 흔든 성폭력 의혹 피해자, 회유·압박 폭로 ‘2차 피해’ 논란
  • 김영정 기자
  • 승인 2025.09.04 07:02
  • 호수 907호 (2025년 09월 04일)
  • 2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잠정조치’ 위반한 채 지인 통해 ‘전화’와 ‘대면 접촉’ 시도
피해자 “지속적 압박은 2차 가해”… ‘잠정조치 위반’ 주장
사진은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계 없음. 홍주일보DB

[홍주일보 김영정 기자] 본지 903호(2025년 8월 7일자) 2면에 보도된 <지역사회 흔든 성폭력 의혹 진실공방… 진실은?> 기사와 관련해, 지난 3월 제주도 연수회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의 피해자 A씨가 가해자로 지목된 B씨를 상대로 추가 고소를 제기했다.

이번 고소는 단순한 성폭력 혐의 외에, 사건 이후 제3자를 통한 지속적인 회유와 간접 압박이 있었다는 점에서 법원이 내린 ‘잠정조치’를 위반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A씨는 지난 7월 25일 충남경찰청에 고소장을 제출하며 “사건이 검찰 수사 중인 상황에서, B씨 측이 지인을 통해 수차례 합의를 종용하려 했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A씨의 지인 C씨가 수차례 전화와 대면 접촉을 통해 “이 일을 빨리 합의로 끝내는 것이 낫다”, “돈을 받고 마무리하라”는 등의 권유를 한 정황이 있었으며, 이는 명백한 2차 가해 행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A씨는 지난 3월, 제주도 연수 중 B씨가 숙소에 무단 침입해 자신을 강제 추행했다고 주장하며 4월 고소장을 접수했다. 사건은 이후 경찰 수사를 거쳐 7월 대전지검 홍성지청으로 송치되어 현재 검찰이 수사 중이다.

A씨는 이번 사건이 단발적인 상황이 아니라, 5년에 걸쳐 반복된 위력에 의한 추행이라며, 관련 증거와 진술을 수사기관에 제출한 상태다.

A씨는 고소 이후 지속적으로 정신적 고통을 호소해 왔으며, 주변을 통한 회유와 허위 사실 유포로 인해 심각한 2차 피해를 겪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시간이 갈수록 지인을 통한 간접적 압박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반면 B씨 측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현재 사건은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A씨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또한 “검찰 수사는 받고 있으나, 언론 대응이나 감정적 대립은 피하고 싶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추가 고소로 인해 잠정조치 위반 여부와 2차 가해 혐의까지 수사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수사기관은 두 사건의 병합 수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사실관계가 규명되기도 전에 제3자를 통한 합의 종용이 시도되는 것은 피해자 보호 체계의 허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한다. 특히 지역 내 권력 구조 및 조직 내 유착이 수사 및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2차 가해는 피해자에게 심각한 심리적 고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합의 종용이나 압박 행위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과 법적 처벌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사건의 진실은 향후 수사 결과를 통해 드러날 것으로 보이며, 원사건과 더불어 추가 고소 건의 법적 판단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