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진료와 병원의 영리 자회사 설립 등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영리화 정책에 대해 지역의 보건․의료계에서도 저지의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홍성군의사회는 지난 10일부터 관내 대부분의 병․의원에 원격진료․영리병원 반대, 건강보험제도 정상화 등의 내용을 담은 포스터를 게시했다. 홍성군의사회는 대한의사협회에서 다음달 10일로 예고한 총파업 의사를 묻는 ‘총파업 의사투표’를 지난 21일부터 시작해 25일 기준으로 40%가 넘는 투표율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홍성군의사회 회원은 40여명으로 관내 병․의원 대부분의 의사들이 속해 있다.
의협은 총파업을 통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원격진료와 사무장병원 활성화 등을 저지하고 건강보험제도를 근본적으로 개혁한다는 것이 목표다.
박래경 홍성군의사회 총무는 “파업여부는 투표 결과가 나와 봐야 알겠지만 현재 회원들의 참여 열기가 높아 상황에 따라서는 상당한 영향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가 추진하는 원격진료와 의료영리화 정책은 불필요한 과잉진료와 부실진료를 불러 올 수 있어 국민들의 건강에 위협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군의사회는 파업이 결정되면 파업참여는 물론 지역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해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전국보건의료노조 홍성의료원지부도 정부의 정책에 반대해 지난 1월 중순부터 매주 수요일 의료원 1층 로비에서 ‘의료민영화 반대 100만 국민 서명 운동’에 나서고 있다.
노조는 군민을 대상으로 1인 시위와 광고 등을 통해 의료영리화 정책 저지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진락희 홍성의료원 노조지부장은 “병원이 자회사를 설립해 영리행위가 가능해지면 환자를 치료하는 곳이 아니라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며 “결국 의료 공공성이 떨어져 국민들에게 고스란히 피해가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