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 민원 중 67%가 축산업
상태바
악취 민원 중 67%가 축산업
  • 이은주 기자
  • 승인 2016.11.18 14: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악취 민원 아산이어 천안·홍성 가장 많아
실태조사·전략 필요

지난해 기준 충남도 악취 민원 181건 중 122건이 축산 악취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약 67%를 차지하는 높은 비중이다. 전국적으로도 축산 악취 민원은 전체 민원의 26%를 차지해 조사대상 업종 중 가장 높았다. 충남도의 악취 민원은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14년 기준으로 아산시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천안, 홍성 순으로 나타났다.

대전대학교 김선태 교수는 충남연구원이 발간하는 충남리포트 244호에서 “축산 악취에 대한 연구는 단일사업장, 축산단지 등 특정지역에 제한적으로 이뤄져 종합적인 관리가 미흡하고, 축산업 관련 정책 및 제도의 부재 등 축산 악취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시스템도 미흡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3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논산시 악취 민원 130건을 분석해보니, 악취 민원 발생원인은 돈사 53건, 분뇨처리시설 20건, 계사 및 퇴비처리시설 각 14건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이 축산업과 관련된 악취 민원이었다.

김 교수는 “축산 악취 관리는 악취 유발자인 축산농가에서 우선적으로 시작되어야 하며, 고비용 방지시설보다는 저비용의 현장 여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모델화하여 확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축산 악취 저감을 통해 축산업이 지역 주민과 상생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신속한 정보 공유, 대응 및 공감대 형성 △축산농가, 주민, 지자체, 공공기관, 시민사회단체 간의 자발적 협의체 구성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친환경축산업이 만들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어 “전문가와 시민단체, 주민 등이 참여하는 충남도 차원의 축산 악취에 대한 실태조사가 이뤄져야 하고, 축산 분야의 전문적 조직 정비와 함께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축산 악취 문제는 주변 주민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축산에 대한 이미지 훼손 및 부정적 시각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축산 악취에 대한 효과적인 문제 해결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