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발전연구원, 지역 네트워크․급식지원센터 설립 강조 / 생산자-소비자 신뢰회복으로 지속가능한 농업 만들어야
충남도 차원에서 로컬푸드 운동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건국대 윤병선 교수와 충남발전연구원(충발연) 유학열 책임연구원은 충발연이 발간한 충남리포트 제22호에서 ‘로컬푸드의 실태 및 충남의 실천과제’라는 제목의 공동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의견을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생산자와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함으로써 식탁의 안전과 농업생산의 안정화를 기하고,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로컬푸드 운동을 활성화해야 한다”며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 및 지역 먹을거리 운동의 네트워크와 연대, 지역소비자에 대한 올바른 인식 확대 및 교육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충남발전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 대해 홍성YMCA 김오열 사무총장은 적극적인 찬성의 뜻을 밝혔다. 김 사무총장은 “로컬푸드 운동을 통해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이 지역에서 소비될 때 생산자와 소비자의 신뢰가 형성되고, 지역 생태계의 보존, 식품의 안정성 등 지속가능한 농업을 만들어갈 수 있다”며 “로컬푸드 운동이 생산자와 소비자의 신뢰를 넘어 지역사회의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성유기농영농조합 정상진 대표는 로컬푸드 운동이 앞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을 만들어가는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지역에서 실천 가능한 구체적인 활동을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현재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이 대형 유통업체나 생협을 통해 판매되고 있지만 궁극적인 대안이 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소비자와 생산자의 신뢰회복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로컬푸드 운동을 열심히 하고 있는 여러 지자체가 있는 만큼 농업생산의 안정성을 꾀하고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홍성군에서도 로컬푸드 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홍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