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리다 ‘NO’, 다르다 ‘YES’
상태바
틀리다 ‘NO’, 다르다 ‘YES’
  • 조현정 <홍성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센터장>
  • 승인 2020.07.05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각 개인의 성격은 독특하다고 말한다. 인간은 누구나 유전과 환경의 산물로서 한 사람 한 사람 독특한 존재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모두 하나같이 다른 독특한 존재이긴 하지만 심리학자 융(Jung, C. G.)은 인간 행동이 그 다양성으로 인해 종잡을 수 없는 것 같아 보여도 사실은 아주 질서정연하고 일관된 경향이 있다고 했다. 

이를 근거로 만들어진 성격유형검사가 있다. 바로 MBTI(Mye rs-Briggs Type Indicator)이다. 인간의 성격을 설명해주는 여러 가지 이론들과 검사들이 있지만 상담자의 직업을 가진 난 MBTI 성격유형검사를 자주 사용한다. 

여타 도구들보다 쉽고 정확하다는 경험적 견해에서다. 간단히 검사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MBTI는 캐서린 브릭스(Briggs, K.)와 그의 딸인 이사벨 마이어스(Myers, I. B.) 모녀가 개발한 대표적인 성격유형검사이다. 앞에서도 언급했던 심리학자 융(Jung, C. G.)의 심리유형론을 근거로 하는 심리검사로, 개인이 쉽게 응답할 수 있는 자기보고 문항을 통해 각 개인이 인식하고 판단할 때 선호하는 경향을 측정한다. 4가지 분류기준에 따라 16가지 심리유형 중 하나로 분류된다.  

힘을 발휘하는 성향(외향형 E와 내향형 I), 정보를 지각하는 성향(감각형 S와 직관형 N), 의사결정을 내리는 성향(사고형 T와 감정형 F), 라이프스타일 성향(판단형 J와 인식형 P) 등 각각 2가지로 구분된 4개의 선호경향에 따라 파악한다.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성격, 흥미 등의 특성과 함께 선호하는 작업환경과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MBTI에 사용된 융의 이론은 인간이 자신의 선천적 경향을 알고 활용할 때 심리적인 쾌적감이 따른다고 보았고, 반면 자신의 선천적 경향을 거슬러 가야 하는 상황 속에서 오랫동안 살아갈 때는 심리적인 탈진감이 오게 된다고 했다. 이것은 마치 선천적으로 오른손잡이인 사람이 왼손을 써야 하는 상황이 되면 서툴고 어색하고 왼손을 쓰고 있다는 의식을 많이 하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의식을 많이 한다는 것은 그만큼 심리적인 에너지의 소모가 많다는 표시이기도 한 것이다. 선천적 경향성에 대한 자기이해가 필요함을 알려준다.  

또한 각기 독특하나 일관된 경향이 있다는 것, 성격의 선호경향으로 자기이해의 시각의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성격 이해의 틀, 바로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다. 어떤 색깔을 좋아하냐는 물음에 빨간색을 좋다고 대답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고 노란색이 좋다고 대답하는 사람이 있다. ‘무슨 과일을 좋아하냐’는 질문에 ‘수박이 좋아요’라고 대답하는  사람이 있고 ‘복숭아가 좋다’고 대답하는 사람이 있다. 보통 우린 이런 질문에 대한 대답을 가지고 판단하지 않는다. 수박을 좋아하는 사람은 시원시원한 사람일꺼야 내지는 복숭아를 좋아하는 사람은 까칠한 사람일꺼야 등의 판단 말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성격과 관련돼서 나와 맞지 않으면 틀린 것이라고 단정 지어 판단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인간관계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성격은 ‘다른 것’이라고 인정하는 태도야 말로 관계의 갈등을 줄이는 밑거름이자 자신의 이해를 넘어 타인의 이해하는 가장 빠르고 좋은 시도가 아닐까 한다. 타인을 바라볼 때 ‘틀려’가 아닌 ‘나와 다르구나’부터 출발해보면 어떨까?

 

조현정 <홍성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센터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