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택시사업 서버, ‘그린콜’도 사용 가능
상태바
브랜드택시사업 서버, ‘그린콜’도 사용 가능
  • 최선경 편집국장
  • 승인 2012.04.26 1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정분열 초래한 군도 책임 면치 못해

미래로콜(대표 강호웅)이 그린콜을 상대로 제기한 서버사용금지가처분 소송에서 법원이 채권자의 신청을 기각했다.

홍성군은 지난해 12월 16일 개인 브랜드택시 운영사업자 ‘미래로콜’ 외에 ‘그린콜’도 콜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양 사업자 간의 분열과 갈등이 지속돼 왔다.

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 민사부는 판결문에서 “이 사건 서버의 소유권에 대해서는 이미 2009년경부터 법인택시 측과 개인택시 측 사이에서도 분쟁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홍성군이 이 사건 서버의 설치장소를 홍성군청으로 이전하여 관리하고 있는 사실이 소명돼 이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보면 미래로콜이 소유자라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또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 48조 제1항이 누구든지 정당한 접근권한을 넘어 정보통신망에 침입하여서는 아니된다고 규정하고 있기는 하나 이 사건 서버가 공익적 차원에서 홍성군의 보조금으로 구입된 것이고, 채무자들의 이 사건 서버 접속으로 서버 관리에 현저한 곤란이 있다고 보이지도 않으며 채무자들 스스로도 서버 사용에 따른 비용을 지급하겠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점 등에 비추어 보전의 필요성 역시 인정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미래로콜 측은 이번 판결에 승복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서버 소유권이 미래로콜에 있다는 주장을 펼치며 서버소유권에 대한 부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 지난 23일 고등법원에 항소해 당분간 법정공방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현재 홍성군 개인택시 브랜드사업이 내부갈등으로 분열된 채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민간보조사업 관리·감독을 책임지는 군도 행정분열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