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을 농촌의 고령친화도시, 노인고용도시로 만들자
상태바
홍성을 농촌의 고령친화도시, 노인고용도시로 만들자
  • 취재=한기원 기자/사진·자료=김경미 기자
  • 승인 2016.12.09 18: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령사회 홍성, 노인고용에 눈을 돌리자 ⑮
▲ 부산역 광장에 있는 이바구자전거와 정류소. 지나가는 행인들이 관심을 갖고 안내판을 바라보고 있다.


2006년 초고령사회 진입 일본, 민간기업 등에서 노인일자리 창출
부산, 65세 이상 고령가구 23.4%, 2022년 31.1%로 30%대 전망
부산시, WHO고령친화도시네트워크 가입 고령친화도시 기반 마련
고령사회로 급변하는 한국 ‘노인’이라는 말에는 사회·경제적 ‘부담’


최근 인구전망에 따르면 한국은 2050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세계 최고 수준이 될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현재 대표적인 최고령 국가인 일본 등은 노인 인구비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2030년이 되면 선진국 평균 수준을 넘어서고 2050년에는 이들 국가를 추월한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가 얼마나 급속하게 고령화시대로 접어들 것인지 또한 그에 대처할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얼마나 시급한 일인지를 말해주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다. 하지만 이에 대비해 우리의 준비는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조기퇴출과 고령자 고용을 회피하는 사회적 분위기, 법적·제도적 정책이 미미한 상황에서 고령화사회에 대처하기는 쉬워 보이지만은 않는 이유다.

이웃 일본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장수국가로 가장 급속하게 고령화시대로 접어들었다. 우리보다 30년이나 앞서 고령사회에 들어선 일본은 고령사회를 준비해야 할 우리에게 좋은 귀감이 되고 있는 것이다. 노인들에게 최고의 복지혜택은 무엇일까? 다름 아닌 일자리라는 것이다. 하지만 노인이 일할 곳은 많지 않다. 그동안 일자리를 세대별로 나누고 노인의 소일거리용 일거리 창출에 소홀했던 우리는 ‘노인 취업’이 먼 나라 이야기일 뿐이다. 하지만 일본은 상황이 다르다. 지난 200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민간기업 등에서 노인을 위한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워킹 실버’가 낯설지 않은 일본의 기업 현장을 찾아보고 우리나라, 특히 충남도청이 이전하여 도청소재지가 된 홍성의 현황과 실정 등을 점검해 홍성을 농촌의 고령친화도시, 노인고용도시로 만들기 위한 대책 등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우리 보다 20여 년 일찍 고령화 현상을 경험한 일본의 사례를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지적과 이유가 여기에 있다.
 

■ 부산시, WHO 고령친화도시 가입 의미
부산이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네트워크에 가입했다고 한다. 부산은 전국 7대 도시 가운데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도시로 꼽힌다. 지난해 기준으로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가구 비중이 23.4%에 달했고, 2022년에는 31.1%로 30%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WHO 서태평양지역본부 안자냐 뷰샨 조정관(Anjana Bhushan)은 지난달 24일 부산시에 WHO 고령친화도시네트워크 가입 인증서를 전달한 것은 커다란 의미가 있다. 고령친화도시는 노인세대의 건강과 사회참여, 사회보장에 관한 기회를 최적화해 활기찬 고령화(Active Ageing)를 촉진하는 도시환경을 갖춘 도시를 일컫는다. 국제기구 가입으로 부산의 노인복지 정책이 노인복지 기본계획이라는 틀 안에서 글로벌스탠다드를 갖춰 가는 기반을 다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부산광역시는 지난 8월 네트워크 가입을 위해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WHO본부를 방문, 부산의 준비과정과 앞으로의 계획을 설명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WHO고령친화도시네트워크(GNAFC, Global Network of Age-friendly Cities)는 전 세계적인 고령화와 급속도로 진행되는 도시화 문제에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WHO가 운영하는 국제기구이다. 현재 세계 35개국, 314개 도시가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울(2013년)과 전라북도 정읍(2014년), 경기도 수원(2016년 8월) 등이 가입했으며 부산은 국내도시 가운데 4번째로 이름을 올렸다. 부산시는 WHO고령친화도시네트워크 가입을 위해 지난해부터 부산복지개발원과 함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고령친화도 평가 등을 실시했다.

올해 6월에는 주거·교통·안전 등 8대 분야, 59개 세부과제로 구성된 노인복지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부산시는 인증서 전달식과 함께 고령친화도시 네트워크에 먼저 가입한 서울, 정읍 등의 도시 관계자를 초청해 컨퍼런스를 가졌다. 이날 컨퍼런스에서 WHO서태평양지역본부 안자나 뷰샨 조정관은 호주와 아일랜드의 고령친화정책 등 해외 선진사례를 소개하며 부산의 준비와 향후 대책을 주문하기도 했다. 뷰샨 조정관은 “부산시의 향후 정책 목표를 고령자들이 사회적 고립이라는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하는데 중점을 둬야 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오래된 차를 수리하는 프로그램이나 IT수업 같은, 노인들이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많이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시는 WHO고령친화도시네트워크 가입을 알리는 선포식을 열었다.

부산시 이병진 사회복지국장은 “WHO고령친화도시네트워크 가입을 통해 모든 시민이 노후에도 건강하게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고령친화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한 기반을 보다 구체적으로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네트워크 가입은 남녀노소 각계각층 시민이 더불어 살아가는 살기 좋은 부산을 만들어 가는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장수시대의 신(新) 노년을 말하다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많은 국가들에서는 노인들이 살기 좋은 국가로의 전환을 중요한 정책과제로 표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 바로 지난 2007년 WHO의 ‘고령친화도시 네트워크’다. 고령친화도시란 주민들이 나이가 들어감에도 건강하고 계속적으로 활동을 유지하면서 생활할 수 있는 도시로서 노인뿐만 아니라 나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살기 좋은 도시를 의미한다. 2010년 뉴욕이 첫 회원도시로 가입한 이래 현재까지 도쿄, 런던, 상하이, 모스크바 등 33개국 280여개의 도시들이 고령친화도시 네트워크에 가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사실 고령친화도시라는 것이 당장 아무 도시나 가입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상당한 준비가 필요한 것은 물론 WHO가 제시한 엄격한 기준과 절차를 모두 충족해야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짧은 시간 안에 매우 괄목할 만한 증가추세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제 고령화는 막을 수 없다. 인간의 수명연장과 사회의 발전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인류사회에서 고령사회가 아니란 의미는 또는 막을 수 있다는 것은 한마디로 어떠한 형태로든지 발전이 더디거나 퇴행인 사회를 의미한다. 우리가 아무리 부정해도 도시는 점차 고령자로 가득 채워질 것이며, 이들이 살기에 편안한 도시계획은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를 통해 고령자들이 더 이상 의존적인 존재가 아니라 보다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령화가 누군가의 말처럼 희망이 없는 잿빛새벽(grey dawn)이 될지 누구나 꿈꾸는 행복한 어울림 사회가 될지는 지자체와 주민들의 의지에 달려있다. 고령화를 막을 수 없다면 받아들여야 하며 조금이라도 여유가 있을 때 준비해야 할 것이다.

이제 우리사회는 고령사회로 급변하는 한국에서 ‘노인(老人, 老年)’이라는 말에는 어느덧 사회·경제적 ‘부담’이라는 그림자가 함께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의 역설(逆說)이다. 한국전쟁을 겪고 살아나 헐벗고 가난한 최빈국(最貧國)을 이만큼 키운 노년들이 이제 경제적 활력을 저하시키는 존재로 여겨지니 말이다. 고령사회 계층은 이대로 우리 사회의 주역에서 점점 물러나야만 하는 걸까. 활기차고, 당당하고, 생산적인 노년의 삶은 불가능한 것일까. 일본에서 이 같은 개념의 ‘신(新)노인’을 주창해 새로운 사회운동으로 발전시킨 히노하라 시게아키(日野原重明·99) 박사는 “나이가 들어서도 얼마든지 건강하고 창조적인 삶을 펼칠 수 있고, 그렇게 돼야 한다”고 단호히 말하고 있다. 일본은 현재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1%이다. 도쿄와 그 주변 지역에는 75세 이상 인구가 약 1200만 명이 살고 있다고 한다. 이들이 생산력 있는 계층이 되지 않으면 일본의 미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노인 스스로 건강해야 하고 사회가 그렇게 만들어야 한다. 일본의 평균 수명은 83세이고, 건강 수명 즉 장애 없이 독립생활이 가능한 나이는 75세이다. 반면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은 79세이지만 건강 수명은 67세다. 건강하지 않은 고령층이 너무 많다는 것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고령사회의 대비는 노인을 위한 생활밀착형 사업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것이 고령친화도시의 첫걸음이기 때문이다. 국가가 학생을 의무 교육시키듯이 이제는 노년층의 품위 있는 삶을 위해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해 제공할 의무가 있다. 홍성의 농촌을 고령친화도시로 만드는데 답이 될 것이다. <끝>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