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홍주의병 발상지 홍주 기사 (5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홍주성과 홍주의사총, 충청·홍주의병의 상징이고 구심체 충청·홍주의병 발상지 홍주 〈1〉 홍주성과 홍주의사총, 충청·홍주의병의 상징이고 구심체 어찌해서 충청도(忠淸道) 홍주(洪州) 땅이었을까. 국토(國土)가 유구한 민족사(民族史)의 요람이라면 선사시대(先史時代)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다는 홍주(洪州) 땅만이 독존(獨存)은 아니었을 텐데, 많은 국토의 편린(片鱗) 중에서 어떻게 해서 홍주(洪州)가 의병(義兵)의 발상지(發祥地)가 됐을까.충청도를 시발로 일어난 의병투쟁은 일제의 침략에 대항, 전면적인 전쟁상태를 선포하게끔 하면서 우리의 민족사를 살아 있게 했다. 일제 식민지로 전락한 이후에도 무력항쟁을 계속할 수 있도록 민족저항사의 원류가 되게 한 것도 의병(義兵)이다. 의 기획특집 | 글·자료|사진=한관우·한기원 기자 | 2022-10-22 08:37 홍주의병, 전국 의병봉기 도화선·독립전쟁·3·1운동 이어져 충청·홍주의병 발상지 홍주 〈2〉 홍주의병, 전국 의병봉기 도화선·독립전쟁·3·1운동 이어져 한말 최초의 의병항쟁, 1896년 1월 시작해 9~10월까지 계속돼‘민비시해사건’인 을미사변과 갑오변란, 단발령이 결정적 발단충청도 홍주, 김복한과 이설 등 유생 을미사변 직후 기병 계획홍주의병, 홍주관아에 창의소 설치, 김복한을 의병장으로 추대 한말 최초의 의병항쟁은 1896년 1월에 시작해 9~10월까지 계속됐다. ‘을미의병(乙未義兵)’이라 부르는 봉기는 1895년 8월 20일에 일어난 ‘민비시해사건(閔妃弑害事件)’인 을미사변(乙未事變)과 갑오변란(甲午變亂·更張)이 결정적 발단이 돼 일어났다. 1895년 11월 15일에 단행된 기획특집 | 글·자료|사진=한관우·한기원 기자 | 2022-10-29 08:30 ‘홍주의병전쟁’ 평민인 민군(民軍)에 의한 구국항쟁 충청·홍주의병 발상지 홍주 〈3〉 ‘홍주의병전쟁’ 평민인 민군(民軍)에 의한 구국항쟁 1895년 홍주유학자 김복한·안병찬·이설 등 홍주성 근거지 의병 일으켜관찰사 이승우가 김복한·안병찬·이설 등 20여 명 구금해 홍주의병 해산홍주의병은 ‘의병투쟁사의 중심에서 봉기를 폭발시키는 도화선이 됐다’홍주 항일독립운동, 의병운동과 독립운동 1894~1945년까지 이어 전개 홍주의병은 홍주 지역에서 유학자와 평민들이 함께 일제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 항쟁한 반일의병이다. 일제의 군사적 침략에 대항한 조선 사람들의 의병전쟁은 크게 세 차례 일어났다. 1894~1896년의 전기의병, 1905~1907년의 중기의병, 1907~1915 기획특집 | 글·자료|사진=한관우·한기원 기자 | 2022-11-06 08:37 충남의병기념관 건립, ‘홍주성·홍주의사총’과 맞물려야 충청·홍주의병 발상지 홍주 〈4〉 충남의병기념관 건립, ‘홍주성·홍주의사총’과 맞물려야 충청남도가 ‘충남의병기념관’ 건립을 추진한다고 한다. 우선 정말 잘한 결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일이다. 하지만 충남의병기념관 건립의 최적지를 놓고 몇몇 지자체가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갈등이 커지는 양상이라고 한다. 충남지역, 특히 홍주지역 의병의 역사적 발자취를 기리는 의병기념관 건립인 만큼 상징성과 대표성이 있으면서 건립 취지에 맞는 곳에 건립되면 될 일이다. 경쟁하고 싸울 일이 전혀 아니다. 오히려 선열들의 정신인 충남의 정신을 오롯이 계승하고 살릴 수 있는 항일의병의 대표적 상징성이 있는 곳에 건립되면 시비할 일도, 논란이 기획특집 | 글·자료|사진=한관우·한기원 기자 | 2022-11-26 08:34 충청의병의 상징은 홍주의병, 중심지는 홍주성이다 충청·홍주의병 발상지 홍주 〈5〉 충청의병의 상징은 홍주의병, 중심지는 홍주성이다 우리의 역사에서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기에 이르는 기간은 반만년 민족사에서 최대의 시련기였다. 1868년 이른바 명치유신 이래로 강력한 군국주의를 표방한 일제가 우월한 군사력을 앞세우고 대륙팽창정책을 추진하면서 조선반도의 침략을 감행해 왔기 때문이다.일제는 1876년 강화도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침략의 교두보를 확보한 이래 청나라와 러시아 세력을 차단하기 위해 1894년 청일전쟁, 1904~05년 러일전쟁 등 침략전쟁을 연이어 도발하며 대조선의 식민지화에 박차를 가했다. 1910년 경술국치로 인해 한국은 결국 ‘인혈(人血)을 기획특집 | 글·자료|사진=한관우·한기원 기자 | 2022-12-04 08:32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