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가 바꾼 지명 아직까지 전국 곳곳에 남았다
상태바
일제가 바꾼 지명 아직까지 전국 곳곳에 남았다
  • 한관우 발행인
  • 승인 2015.03.31 16: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복70주년 기획-일제에 빼앗긴 고유지명 되찾기
지명역사 1000년 홍주 고유지명 되찾자

 

 

 

 

 

 

∆ 지명역사 1000년을 상징하는 홍주아문 안에는 아직까지 일제에 의해 강제로 이름이 바뀐 홍성이란 명패를 달고 100년의 세월동안 고유지명을 되찾지 못한 채 홍성군청이 자리하고 있다.
아직도 일본식 지명이…우리의 고유지명 되찾아야 
일제에 빼앗긴 지명 아직까지도 전국적으로 산재
지명, 시·군·구 지명위 심사 국토지리위 최종 결정


2015년 광복 70주년을 맞았다. 일제는 한 나라의 역사와 민족의 정기를 말살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가 사람의 이름과 땅의 이름 즉, 지명을 바꾸는 일이었다.

 

 

 

일제는 강점기 동안 한민족을 말살하기 위해 이른바 창씨개명(創氏改名)이라 해서 한국인 이름을 일본식으로 강제로 바꾸게 했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고유지명(地名)도 마음대로 일본식으로 고쳐 버렸다. 그런데 일제가 패망하면서 일본식 인명(人名)은 본래의 고유 이름으로 되돌려졌다.

하지만 일제가 남긴 일본식 지명은 지금까지도 본래 이름을 되찾지 못한 채 전국 곳곳에 버젓이 남아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제가 바꾼 지명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곳이 전국에 산재해 있다. 일제강점기 행정 편의라는 이유로 우리말 고유지명을 전부 한자나 일본식으로 바꿨다.

그것이 일제의 통치 행위의 편리성을 위한 것이었다고 하지만 사실은 우리민족의 혼까지도 말살하려는 속셈까지 더해진 것은 명확한 일이다. 광복 이후 정부와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옛 지명을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돼 왔지만 아직까지 결과는 미약한 실정이다.

지금도 지방자치단체와 사회단체들이 앞장서 일제 때의 지명을 바꾸거나 되찾기 위한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 인력과 정부당국의 예산 부족 등으로 성과는 그리 크지 않은 실정이다. 심지어 수십 년간 익숙해진 일본식 지명을 그대로 쓰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는 상황을 감안한다면 일제의 잔재 청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적인 난제다.

이러한 현실은 일제잔재의 청산작업이 늦어지면서 초래되는 현상이기에 더 안타까운 일이다. 실제로 일제강점기 때 사용하던 땅 이름이 그대로 남아 있고, 또 잘못 사용되고 있는 지역이 아직도 많으나 주민과 행정기관의 인식 부족으로 고쳐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 일제가 우리의 정기를 끊기 위해 바꾸었거나 잘못 붙여진 이름이 지금껏 사용되는 지역도 전국적으로 부지기수다. 특히 일제가 시행한 지명 개편은 동기와 목적이 식민통치자의 수탈에 있었다는 점, 침략자에 의해 자의적으로 이루어져 한국인의 정서나 감정이 배제되었다는 점, 그로 인하여 많은 지명들에 대해 개악이 이루어진 점 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1913~1914년에 걸친 전 국토의 행정구역 폐합정리(廢合整理)는 한반도에서 단군 이래 최대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창지개명(創地改名)’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때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하여 없어진 행정구역 명칭은 군 이름이 97개, 면이 1834개, 리·동 이름이 3만 4233개가 되고 그중 새로 생겨난 지명, 여기에 두 지명중에서 한 글자씩 따서 만든 합성 지명까지 포함한다면 전체의 약 35%에 이르는 1만 1000여 개에 달한다는 통계자료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이때 바뀌거나 빼앗긴 지명이 아직까지도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는 것이다. 우리고장 ‘홍주’도 이때 일제에 의해 강제로 이름을 빼앗겼고 지금까지도 일제에 의해 강제로 개명된 ‘홍성’이란 지명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우리 고장의 옛 고유지명을 되찾자’고 나서는 이유는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일제에 의해 강제로 빼앗겼거나 잃어버린 본래의 고유이름을 되찾는 일은 광복 70주년을 맞이하는 오늘의 시점에서 지역의 역사와 문화, 전통을 계승하는 차원에서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홍성군의 경우 향토사학자들을 비롯해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홍주’라는 옛 지명을 되찾아 ‘홍성을 홍주로 바꿔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실제로 충남도청이 2012년 홍성으로 이전해 오면서 옛 고유지명 되찾기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1000년의 역사를 간직한 홍주아문 현판과 100년 동안 일제가 개명한 홍성이란 이름을 달고 있는 홍성군청 정문의 현판이 묘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홍성은 고려 이후 홍주로 불려왔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민족혼을 말살하는 수단으로 홍성군으로 개명한 후 현재에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

 

 

2014년에는 ‘홍주지명 되찾기 범군민운동본부(본부장 오석범 전 홍성군의원)’가 구성돼 홍주지명 되찾기 운동을 본격화하고 있는 점은 앞으로 주목할 일이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명이 100% 한자화 되면서 일본식으로 왜곡되고 변형됐다.

우리 땅 고유지명을 되살리는 일은 식민 잔재를 걷어내고 나라의 자존심을 일깨우는 차원에서 반드시 실행돼야 할 일이다.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사람의 이름을 바꾼 것은 물론 한반도 곳곳의 마을이름과 지명도 침탈의 예외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일제에 항거했다는 이유로, 지명이 한민족의 기상을 일깨운다는 구실 등을 붙여 일본제국주의는 대대손손 내려오던 산천과 마을 이름까지도 짓밟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모든 곳에는 지명이 있다. 우리말로 ‘땅 이름’이 되는 지명은 사람의 필요에 의해 붙여지기 시작했으므로 그 역사도 당연히 그곳에 사람이 살기 시작해 문화적 삶을 누리기 시작한 것과 그 연원을 같이 한다.

그런데 무생물인 지명은 희한하게도 생명력을 갖고 있어 마치 사람의 운명과 마찬가지로 처음 생겼다가 다른 이름으로 변하거나 없어지기도 하고, 또 다시 살아나기도 하는 등 다양한 흥망성쇠의 과정을 거치며 이어나간다.

물론 그 과정에는 그 땅과 얽혀있는 온갖 인문지리, 즉 자연, 물산, 인물, 역사 등등이 녹아들게 되어 지명 자체가 그 땅의 문화와 역사를 함축하고 있는 상징이 되기도 한다. 정부는 물론 개인과 각종 단체들도 지난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일제 잔재를 청산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당시 정부는 일제잔재 청산을 위해 각종 정책을 수립하는 등 법석을 떨었으나 일제 잔재 지명 청산은 아직까지도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민간단체에서도 우리 역사와 지명에 관한 연구·발표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써오던 지명을 한순간에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고 전한다.

 한때 서울시가 일제 잔재 지명을 변경하려 했지만 재정적 부담이 크다는 이유에서 시행하지 못하고 무산된 경우도 있다. 지명을 변경할 경우 안내표지판 변경을 비롯한 다양한 부분들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이렇듯 일제 잔재인 지명을 청산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것은 복잡한 행정시스템도 한 몫 한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지난 2007년부터 꾸준히 일제가 바꾼 지명을 재정비해 오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가시적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중요한 것은 잘못된 표기나 일제 잔재 지명 등 지명을 재정비하기 위해서는 개인과 단체에서 지명 변경을 통해 안건을 상정해야 시·군·구 지명위원회의 심사가 이뤄진다.

 이후 최종적으로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위원회에서 심사를 통해 지명 정비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최근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일제 잔재 지명 청산에 대한 관심은 날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고유지명 되찾기는 현실적으로 주민들의 의지가 전제되는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가 앞장서야 가능한 일이다. 중요한 것은 올바른 역사의식이 전제돼야 하는 이유다. ‘홍주’라는 옛 고유지명을 되찾는 일도, 또 꼭 되찾아야 하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